Post

Number Theory 1

본격적으로 암호학 정수론을 시작하기 전에 Notation을 소개한다. 또한 앞으로의 포스팅에서는 수가 음수가 되거나 0이 되는 경우는 대부분 제외한다.

Divisibility, Divisor, Multiple, Remainder

아래는 모두 같은 것을 의미한다.

  • $b=ca$
  • $a|b$
  • $a$ divides $b$
  • $a$ is a divisor(약수) of $b$
  • $b$ is a multiple(배수) of $a$

Prime $p$ :only $1, -1, -p, p$ divides $p$

Some Properties

  • 약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. 결과보다는 증명 과정을 깊게 보면 좋을 것 같다.
  • $a|b \iff b=ac $ 인 정의를 사용해서 증명하자
    • 위 수식을 만족하는 $c$를 찾으면 된다.
  • $1|a, -1|a, a|0$
    • $1|a \rightarrow a=c*1 \rightarrow c=a$
    • $-1|a \rightarrow a=c*(-1) \rightarrow c=-a$
    • $a|0 \rightarrow 0=c*a \rightarrow c=0$
  • $a|a, a|-a, -a|a, -a|-a$
    • 차례로 $c=1, -1, -1, 1$
  • if $a|b$ and $a|c$, then $a|(bx+cy)$
    • $a|b \rightarrow b=sa$인 $s$가 존재
    • $a|c \rightarrow c=ta$인 $t$가 존재
    • $bx+cy=sax+tac=(sx+tc)*a \rightarrow$ $a$로 나누어 떨어짐
  • if $a|b$ and $b|c$, then $a|c$
    • $a|b \rightarrow b=sa$인 $s$가 존재
    • $b|c \rightarrow c=tb$인 $t$가 존재
    • $c=(ts)*a \rightarrow$ $a$로 나누어 떨어짐

Division Theorem

For integers $a(\ne0), b$, there exist unique integers $q$ and $r$ such that, $b=qa+r, 0\le r<|a|$

나누기의 결과는 항상 한개이다.

Proof by contradiction

  • 나누기의 결과가 2개 이상인 만족하는 조합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. $(q_1, r_1, q_2, r_2)$
    • $b=q_1a+r_1, b=q_2a+r_2$
  • 만약 $r_1=r_2$이면 자연스럽게 $q_1=q_2$ 이다 : 모순
  • 만약 $r_1\ne r_2 (r_1<r_2)$ 이면, $0<r_2-r_1<a$ 이고,
    • $0=(q_2a+r_2)-(q_1a+r_1)$ 이다.
    • 왼쪽 $0$은 $a$로 나누어 떨어지지만, 오른쪽은 $a$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 : 모순
  • 따라서 정수 나누기는 결과가 단 1개이다.

Greatest Common Divisor (GCD)

for integers $𝑎$ and $𝑏$ unique integer $𝑑$ such that ($𝑑|𝑎$ and $𝑑|𝑏$) and (for all possible $𝑐$, $𝑐|𝑎$ and $𝑐|𝑏$ implies $𝑐|𝑑$)

  • $𝑑|𝑎$ and $𝑑|𝑏$ : $d$는 $a, b$의 공약수이다.
  • for all possible $𝑐$, $𝑐|𝑎$ and $𝑐|𝑏$ implies $𝑐|𝑑$ : $c$가 $a, b$의 공약수이면 $d$로 나누어 떨어져야 한다.

$a, b$의 최대공약수를 앞으로 $\gcd(a, b)$로 표현한다.

  • $a, b$는 서로소(Relatively Prime) $\iff \gcd(a,b)=1$
  • $a, b$의 공약수는 최대공약수의 약수들로 이루어져 있다.
    • $a$의 약수 집합 $A$, $b$의 약수 집합 $B$가 존재한다고 하자.
    • $a, b$의 공약수 집합 : $A \cap B$
    • $\gcd(a, b)$ = $\max(A\cap B)$

How to Calculate GCD?

If $b=q_1a+r_1$, then $\gcd(b, a)=\gcd(a,r_1)$

  • Euclid Algorithm for $a$ and $b$ ($0<a<b$)
    • $b=q_1a+r_1$
    • $a=q_2r_1+r_2$
    • $r_1=q_3r_2+r_3$
    • $\cdots$
    • $r_{k-2}=q_kr_{k-1}+r_k$
    • $r_{k-1}=q_{k+1}r_k +0 → \gcd(r_{k-1}, r_k)=r_k$

Correctness of Euclid

  • 증명할 명제: If $b=q_1a+r_1$, then $\gcd(b, a)=\gcd(a,r_1)$

  • ‘$a, b$의 공약수 집합 $\subseteq a, r_1$의 공약수 집합’임을 증명
    • $a, b$의 공약수 집합의 어떤 원소를 $c_1$라 하자
    • $b=c_1k_1, a=c_1k_2$
    • $b=q_1a+r_1$이므로, $c_1k_1 = q_1c_1k_2+r_1$
    • 식을 정리하면 $c_1(k_1-q_1k_2)=r_1$이므로 $r_1$은 약수로 $c_1$를 가지고 있다.
  • [반대 방향 증명] ‘$a,r_1$의 공약수 집합 $\subseteq a, b$의 공약수 집합’
    • $a, r_1$의 공약수 집합의 어떤 원소를 $c_2$라 하자
    • $a=c_2k_3, r_1=c_2k_4$
    • $b=q_1a+r_1$이므로, $b = q_1c_2k_3+c_2k_4$
    • 식을 정리하면 $b=c_2(q_1k_3+k_4)$이므 $b$는 약수로 $c_2$를 가지고 있다.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